Keloid - 켈로이드
https://ko.wikipedia.org/wiki/켈로이드
☆ 2022년 독일의 Stiftung Warentest 결과에 따르면 ModelDerm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유료 원격진료 상담보다 약간 낮았습니다. relevance score : -100.0%
References
Keloid 29939676 NIH
켈로이드는 피부 손상이나 염증 후 비정상적인 치유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발병에 기여하며, 아프리카인, 아시아인, 히스패닉계 등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에게서 비율이 더 높습니다. 켈로이드는 섬유아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과다한 콜라겐과 성장인자를 생성할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섬유아세포가 늘어나고, ‘켈로이드 콜라겐’이라 불리는 크고 비정상적인 콜라겐 다발이 형성됩니다. 임상적으로 켈로이드는 이전에 부상을 입은 부위에 단단하고 고무 같은 결절로 나타나며, 일반적인 흉터와 달리 원래 외상 부위를 넘어 확장됩니다. 환자는 통증, 가려움증, 작열감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냉동치료, 수술, 방사선치료, 레이저치료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Keloids result from abnormal wound healing in response to skin trauma or inflammation. Keloid development rests o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Higher incidences are seen in darker skinned individuals of African, Asian, and Hispanic descent. Overactive fibroblasts producing high amounts of collagen and growth factors ar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keloids. As a result, classic histologic findings demonstrate large, abnormal, hyalinized bundles of collagen referred to as keloidal collagen and numerous fibroblasts. Keloids present clinically as firm, rubbery nodules in an area of prior injury to the skin. In contrast to normal or hypertrophic scars, keloidal tissue extends beyond the initial site of trauma. Patients may complain of pain, itching, or burning. Multiple treatment modalities exist although none are uniformly successful. The most common treatments include intralesional or topical steroids, cryotherapy, surgical excision, radiotherapy, and laser therapy.
Keloid treatments: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of recent advances 36918908 NIH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와 함께 실리콘 젤이나 실리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켈로이드 초기 치료법으로 선호됩니다. 효과는 다양하지만, 병변 내 5-플루오로우라실 (5‑FU), Bleomycin (블레오마이신) 또는 Verapamil (베라파밀)과 같은 추가 치료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요법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또는 폐쇄된 국소 스테로이드와 결합하면 약물 침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난치성 켈로이드의 경우 수술적 제거 후 즉각적인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시트와 압력 요법을 병행하면 켈로이드 재발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Current literature supports silicone gel or sheeting with corticosteroid injections as first-line therapy for keloids. Adjuvant intralesional 5-fluorouracil (5-FU), bleomycin, or verapamil can be considered, although mixed results have been reported with each. Laser therap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intralesional corticosteroids or topical steroids with occlusion to improve drug penetration. Excision of keloids with immediate post-excision 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option for recalcitrant lesions. Finally, silicone sheeting and pressure therapy have evidence for reducing keloid recurrence.
Keloids: a review of therapeutic management 32905614 NIH
현재 켈로이드의 재발률을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는 단일 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와 레이저를 병용하거나, 5-Fluorouracil(5-플루오로우라실)을 스테로이드와 결합하는 등 점점 더 많은 옵션이 유망함이 입증되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가 지방 이식이나 줄기 세포 기반 치료법과 같은 새로운 접근법이 켈로이드 관리에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There continues to be no gold standard of treatment that provides a consistently low recurrence rate;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available treatments and synergistic combinations of these treatments (i.e., laser-based devices in combination with intralesional steroids, or 5-fluorouracil in combination with steroid therapy) is showing favorable results. Future studies could target the efficacy of novel treatment modalities (i.e., autologous fat grafting or stem cell-based therapies) for keloid management.
Scar Revision 31194458 NIH
흉터는 피부 손상 후 치유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상적인 흉터는 평평하고 얇으며 피부색과 일치합니다. 감염, 혈류 감소, 허혈, 외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상처 치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흉터가 주변 피부보다 두껍거나 어둡거나 과도하게 수축되면, 신체적 기능과 정서적 건강 모두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Scars are a natural and normal part of healing following an injury to the integumentary system. Ideally, scars should be flat, narrow, and color-matched. Several factors can contribute to poor wound healing. Thes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fection, poor blood flow, ischemia, and trauma. Proliferative, hyperpigmented, or contracted scars can cause serious problems with both function and emotional well-being.
켈로이드 흉터는 아프리카인, 아시아인, 히스패닉계 사람들에게 더 자주 나타납니다. 10세에서 30세 사이의 사람들은 노인보다 켈로이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대개 부상 부위에 발생하지만 켈로이드 (keloid)는 자연적으로도 생길 수 있습니다. 피어싱 부위, 여드름 자국, 긁힌 자국 등 단순한 부위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여드름이나 수두 흉터, 상처 부위 감염, 반복적인 외상, 상처 봉합 시 과도한 피부 긴장, 이물질 존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켈로이드 흉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가슴 중앙(흉골 절개술), 등·어깨(여드름), 귓불(귀 피어싱) 등에서 흔합니다. 신체 피어싱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부위는 귓불, 팔, 골반, 쇄골 위입니다.
이용 가능한 치료법으로는 압력 요법, 실리콘 겔 시트, 병변 내 Triamcinolone acetonide, 냉동 수술, 방사선 요법, 레이저 요법, interferon, 5‑FU 및 수술적 절제 등이 있습니다.
○ 치료
비후성 흉터는 1개월 간격으로 병변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5~10회 정도 시행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Triamcinolone intralesional injection
흉터와 관련된 홍반에 대해 레이저 치료를 시도할 수 있지만 트리암시닐론 주사는 흉터를 평평하게 하여 홍반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Dye laser (e.g. V-beam)